본문 바로가기
지난영화제/제 13회 제주여성영화제

섹션 1. 익숙한 낯섦

by JJWFF 2012. 9. 3.

섹션 1: 익숙한 낯섦 / Section 1: Familiar Strangeness

 

 

1. 3.11 여기에 살아 / 3.11: In the Moment

 

 Japan ︳Documentary ︳2011 ︳90 mins

︳Lang. Japanese ︳Sub. Korean, English

 Sep, 21st (Fri), 16:30

 

키워드: 치유, 희망 찾기

Keywords: Healing, Looking for Hope

 

<3.11 여기에 살아>는 여성과 지역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어 2011년 일본 동북 대지진 이후의 삶을 조명한다. 강렬한 오프닝으로 관객을 동요시킨 영화는 곧 후쿠시마 여성들의 일상으로 관객들을 데려간다. 지진 · 쓰나미의 가장 큰 피해 지역인 후쿠시마에는 지진 이후에도 떠나지 않고 오히려 삶의 새로운 지향점들을 설정하고 살아가는 여성들이 있다. 그녀들의 일상은 대체로 씩씩하지만 가슴 먹먹한 슬픔과 무력감이 갑자기 찾아오기도 한다. 2011년 도쿄국제여성영화제의 하이라이트는 <3.11 여기에 살아>의 프리미어 상영이었다. 영화의 시작부터 관객석에서 터져 나오는 울음은 영화가 끝날 무렵 통곡의 장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 다큐멘터리 속 출연 여성들은 영화 속의 자신들의 활력이 어떤 안간힘 속에서 나온 것인지를 고백했다. <3.11 여기에 살아>는 미학과 사회분석의 측면에서 야심찬 다큐멘터리는 아니지만, 지난해 엄청난 재난 앞에 스스로를 그리고 타인을 위로하는 시간이 필요했던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영화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상영되는 버전은 도쿄의 프리미어 버전을 재편집한 버전이다. 감독은 앞으로 10년 동안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을 계속해서 기록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황미요조)

 

3.11: In the Moment illuminates the life of Japan, after the earthquake in northeastern Japan, 2011, especially focusing on women and local community. The film stirs the audience with a powerful opening, and then brings them into the daily lives of women in Fukushima area. In the greatest stricken district, Fukushima, of the earthquake and tsunami, a lot of women have not escaped the region but set up their goals and keep on their lives. Their lives look brave but sometimes deep grief and helplessness suddenly hit them. The climactic moment of the 2011 Tokyo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was the premier screen of 3.11: In the Moment. The audience burst into tears from the very first scene and, at the last scene, the theater was filled with wail. After the showing, in the guest talk, the actual casts of the film confessed that they were able to gather up the will and energy only by focusing all their might and determination to go on. 3.11: In the Moment is not an aesthetically or socio-analytically ambitious documentary but a film for people who needed time to console themselves and the others because of the great disaster that occurred last year. The film for the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is edited version of the original premier version screened in Tokyo. The director has a long-term plan to record the casts’ life for the next decade. (HWANG Miyojo)

 

<감독> 가샤 쿄코

1963년 도쿄 출생. 1987년 일본 조치대학교를 졸업하였고, 같은해 도쿄TV의 기자로 방송일을 시작했다. 2001년 로이터통신에 입사하면서 뉴욕으로 이주했고, 그 해 일어난 911테러의 여파로 맨하튼에 정착하기까지 7번에 걸친 이사를 했다. 9·11의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 그녀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시작했고 2009년 마침내 <엄마의 길, 딸의 선택>을 완성했다.

 <3.11 여기에 살아>(2011)는 그녀의 두 번째 다큐멘터리 작품이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GASHA Kyoko

Born in Tokyo in 1963. In 2001, she was hired by Reuters, and moved to New York. As a result of the World Trade Center attack, they had to move seven times in their first several years in New York. Recovering from the aftermath of September 11th, she started to make documentaries again. Mothers’ Way, Daughters' Choice was finally finished in 2009. 311: In the Moment is her second documentary film.

 

 

 

2. 희망버스, 러브스토리 / Hope Bus, A Love Story

 

Korea ︳Drama, Animation ︳2011 ︳9 mins

︳Nonverbal

Sep, 21st (Fri), 19:00

 

키워드: 노동탄압, 연대, 관심

                    Keywords: Labor Oppression, Solidarity, Interest

 

크레인 위에서 306일 동안 목숨을 건 고공농성을 이어간 한 여성 노동자. 그리고 그녀와 함께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이 작품은 독특하게도 레고 블럭으로 투쟁의 풍경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내었다. 여기에서 사람은 인간방패가 되고, 조립한 블록은 희망버스가 되고, 크레인 위 노동자는 거대한 로봇이 된다. 2011년 한국사회의 희망을 쌓아 올린 아름다운 투쟁과 김진숙의 이름을 영화는 사랑의 이야기로 기억하고자 한다. (김유성)

 

This work, which captured the stories of a female laborer who carried out a high altitude sit-in, risking her life on top of a crane for 306 days, and the people who stayed beside her, uniquely recreates the scenes of struggle as an animated short film with Lego blocks. Here, people become human shields, the assembled blocks become Hope Bus and the laborer on top of the crane becomes a gigantic robot. The film remembers the beautiful struggle that raised hope in the Korean society in 2011, and tries to relate the name of KIM Jin-suk with a love story. (KIM Yusung)

 

<감독> 박성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졸업. 홍상수 감독의 <밤과 낮>(2007) 연출부와 임권택 감독의 <달빛 길어올리기>(2010) 의상팀을 지냈다. 각본 및 연출을 맡은 단편영화 <파리의 멋진 인생>(2007)은 베를린 아시아 단편영화제, 부산 아시아 단편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PARK Sung-mi

Park Sung-mi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and studied film at 3IS (Institut International de l'Image etdu Son) in France. She was the assistant director for Night and Day (2007) and worked for the costume team of the movie Hanji (2010). Her credits include A Wonderful Life in Paris (2007), Perfect Communication (2008) and Flying Pig (2011).

 

 

 

3. 깔깔깔 희망버스 / Jinsuk & Me

 

Korea ︳Documentary ︳2012 ︳85 mins

︳Lang. Korean ︳Sub. English

Sep, 21st (Fri), 19:00

 

키워드: 노동탄압, 강정, 연대, 관심

Keywords: Labor Oppression, Ganjung, Solidarity, Interest

 

<깔깔깔 희망버스>는 2011년 한국을 뜨겁게 달구었던 희망버스의 대중적 저항을 포착함과 동시에 한진중공업 투쟁에 결합하여 문화적 난장을 펼치며 시대적 고민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온 다양한 여성들을 조명한다. 중공업 여성 노동자였던 김진숙 지도위원의 트위터를 매체로 했던 투쟁, 디지털 공간과 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저항 방식, 그리고 대중들과 여배우가 만들어낸 투쟁 전선은 한국사회에서 저항을 조직하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다. 감독은 2011년 6월 버스에 오르며 뒤집혀버린 자신의 일상을 희망버스를 기획하고 버스에 탄 사람들, 크레인을 지키는 노동자들, 희망을 만들기 위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교차시킨다. 희망을 만들고자하는 사람들의 부산스런 움직임은 부산 영도 앞바다 85호 크레인 앞으로 모여들고, 흩어져 다시 명동 마리 카페 앞으로, 이소선 어머니의 추모 행렬로 이어진다. 2011년 한국사회의 다양한 투쟁 속 어디에나 희망버스가 있었고, 그 모든 투쟁들이 다시 부산 크레인 앞으로 모여든다. (홍소인)

 

Jinsuk & Me captures the mass resistance of the Hope Bus, which has heated up Korea in 2011. At the same time, it casts a spotlight on various women opening up cultural discourses by participating in movements that struggle against Hanjin Heavy Industry. The film also highlights, KIM Jin-suk, an advisory committee member who used to be a female laborer in the heavy industry and her struggle through Twitter, a new method of struggle using the digital space and cultural assets, and the frontier created by the public and female celebrities which show a new attempt in organizing resistance forces in the Korean society.

The director mixes her own life, overturned from the moment she stepped on the bus in June 2011, with images of people who organized and got on the Hope Bus, workers protecting the cranes, people singing, dancing, and drawing to create hope. The people trying to create hope move busily, gathering around the Crane 85 in front of the ocean at Yeongdo district in Busan, then in front of Café Mari in Myeongdong, and in a march to commemorate LEE So-sun, the mother of laborers. The Hope Bus was present in various struggles in the Korean society in 2011, and all those struggles once again amass in front of the crane in Busan. (HONG So-in)

 

<감독> 이수정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 독립다큐멘터리, 극영화 프로듀서 및 감독으로서 <미술관 옆 동물원>(1998), <디지털 삼인삼색>(2000), <우렁 각시>(2001), <감자 심포니>(2007) 등의 작품을 제작했다.

 

<Director> LEE Soo-jung

Lee Soo-jung graduated from the Korean Academy of Film Arts. She worked as a producer cum director for independent documentaries and fiction films. Her credits include Art Museum by the Zoo (1998), Jeonju Digital Project (2000), Cho Yun - Fat Boy Meets Brownie Girl (2001) and Potato Symphony (2007).

 

 

 

4. 하신타:기억의 뜨개질 / Jacinta

 

Mexico ︳Animation ︳2008 ︳9 mins

︳ Nonverbal

Sep, 21st (Fri) 21:10, 23rd (Sun) 11:00

 

키워드: 고독, 외로움, 죽음

Keywords: Solitude, Loneliness, Death

 

요양소의 적막한 방에서 한 노년의 여성이 뜨개질을 하고 있다. 멈춰진 듯 한 요양소의 일상 속에서 시간의 흐름을 확인하는 유일한 단서는 그녀의 뜨개질 완성본들이다. 영화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질감을 통해 나이 든 여성의 육체적 변화를 촉각적으로 재현해내며, 이 육체가 그녀를 거쳐온 시간의 흔적이라고 말한다. 이윽고 이 여성의 몸은 그녀 자신이 솔기솔기 엮어낼 마지막 작품의 재료로 화하게 된다. (김유성)

 

In a quiet and lonely room in a sanitarium, an elderly woman knits.

In the sanitarium, where time seems to have stopped, the only clue that confirms the passing of the time is the finished knits. The film cleverly reproduces the physical changes in an elderly woman through the texture of clay animation, and states that the body is the traces of time that passed by her. Eventually, this woman's body becomes the material which she will knit her last work. (KIM Yusung)

 

<감독> 카를라 카스타녜다

 

1978년 과달라하라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다수의 상업용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과 독립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했다. <멜키아데스>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단편 <하신타: 기억의 뜨개질>(2008)을 연출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Karla CASTANEDA

Born in Guadalajara in 1978. She has participated in several productions of stop motion animation in independent and commercial fields. She has made the animated series Melquiades.

 

 

 

5. 이 세상에서 / Of This World

 

Mexico ︳Drama ︳2010 ︳26 mins

︳Lang. Spanish ︳Sub. Korean, English

Sep, 21st (Fri) 21:10, 23rd (Sun) 11:00

 

키워드: 가족을 넘어

Keyword: Leaving the Family

라틴 아메리카 영화 서사에서 자주 목격되는 중요한 경향 중 하나는 길을 떠나는 주제가 반복된다는 점이다. 남미 로드무비의 전통 안에 맥락화될 수 있는 <이 세상에서>는 자신을 옥죄던 공간에서 탈출하여 길을 떠나는 여성을 시각화한다. 절망 속에서 걸어 나와 희망을 찾아가는 여정, 사라는 그 여정을 카를로스와 함께하고자 한다. 희망을 찾아 떠나고자 하는 사라와 현재에 정주하고픈 카를로스. 미래와 현재의 부딪힘 속에서 이곳과 저곳의 갈림길을 오가지만, 이 세상에서 그녀들을 위한 공간은 없다. 희망 없는 현실에 대한 시적인 영상은 잔잔하지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홍소인)

 

One of the tendencies usually seen in Latin American films is the repetitive theme of journey. Of this World can be taken 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 of Latin American road movies. It visualizes a woman on a journey, escaping from oppression. After walking out of despair to look for freedom, Sarah wants to be with Carlos on her journey. Sarah wants to leave and look for hope, while Carlos wants to stay in the present. Although they walk down many crossroads in the clashe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re is no place for the two of them in this world. This poetic image regarding the realities of the present gently, yet deeply tugs at the heartstrings of the audience. (HONG So-in)

 

<감독> 페르난다 발라데스

 

 

 

 

 

페르난다 발라데스는 단편 <이 세상에서>로 데뷔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Fernanda VALADEZ

<Of This World> is Fernanda Valadez's first short film.

 

 

 

6. 저녁 / Dinner

 

Singapore Drama ︳2011 ︳30 mins ︳Lang. Non-English

︳Sub. Korean, English

Sep, 22nd (Sat), 14:00

 

키워드: 사회와의 갈등, 치유

Keywords: Social Conflict, Healing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 한 할머니가 있고 그 할머니와 매일 마주치는 젊은 청년이 있다. 그리고 칠석날 마법이 일어나고 초현실적인 로맨스가 가능해진다. <저녁>의 가장 큰 장점은 흥겹고 노스탤지어적인 영화의 분위기를 잘 형상화 시킨 세트와 조명, 미술이다. 1924년의 번잡하고 활기가 넘치는 거리 풍경과 할머니의 판타지적인 회고가 잠시나마 마음을 따뜻하게 한다. (황미요조)

 

There is an elderly woman who seems to be waiting for someone, and there is a young man who runs into her every day. And on Qixi, the Chinese Valentine's Day, magic begins and surreal romance becomes possible. The strength of Dinner is art - the set and the lighting that superbly portray the cheerful and nostalgic ambience of the film. 1924's busy street overflowing with vitality and the elderly woman's fantastic reminiscence briefly warms the heart. <HWANG Miyojo>

 

<감독> 캐즈 차이

 

캐즈 차이는 싱가포르 영화 감독이다. 각종 아시아 방송상을 수상한 다수의 다큐멘터리와 공연 동영상들을 제작 그리고 연출, 편집을 해왔다. 또한, 그녀가 제작한 뮤직비디오, 홍보영상으로 아폴로 상을 수상하였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Kaz CAI

Kaz CAI is a Singaporean filmmaker In the past decade, she has produced, directed and/or edited documentaries and live concerts, which garnered numerous Asian TV Awards. She has also won a number of Apollo Awards for her work in television commercials, and other multifarious accolades for music videos and promos including the prestigious Pramax & BDA.

 

 

 

7. 오늘의 뉴스 / Today's Headline

 

Korea ︳Drama ︳2011 ︳19 mins

︳Lang. English ︳Sub. Korean

Sep, 22nd (Sat), 14:00

 

키워드: 소문의 역학

Keyword: Dynamics of Gossip

 

새로운 부서에 발령받은 외국 여성 에이미는 말도 통하지 않는 동양인들 틈에서 소외감을 느낀다. 그러던 어느 날, 이상한 호스를 통해 '오늘의 뉴스'라는 방송이 흘러나온다. 뉴스는 직장 상사와 동료의 동성애 불륜, 스토커의 삼각 관계를 가차없이 폭로한다. 방송을 들으며 무료하고 소외된 일상에서 쾌감을 느끼는 에이미는 점점 스캔들에 집착을 하게 되고 '오늘의 뉴스'를 동료들에게 전파하면서 그들과 연대감을 느끼게 된다. 다소 작위적인 결말이지만 '뉴스'라는 형식을 이용, 직장 여성의 일탈 욕망을 독특한 상상력과 재기발랄한 위트로 잘 표현했다.

 (신수원)

 

Amy, a foreign Caucasian woman who was transferred to a new department, feels alienated among Asians coworkers whom she cannot even communicate with. One day, a broadcast called ‘Today’s News’ trickles out from a strange pipeline. The news mercilessly discloses the homosexual affair between the boss and a coworker and the love triangle created by a stalker. Amy, who feels pleasure from listening to the broadcast in her dull and alienated life, increasingly becomes obsessed with the scandals; and by spreading ‘Today’s News’ to her coworkers, she starts to feel a solidarity with her coworkers. Even though the ending is a bit contrived, the film finely expresses a working woman’s desire to deviate from everyday life with unique imagination and dazzling wit, using a form called ‘news’. (SHIN Suwon)

 

<감독> 정은경

 

 

 

1976년 서울 출생.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교 영상 제작 석사과정 재학 중. <오늘의 뉴스>는 감독의 두 번째 연출작이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Jude JUNG

Born in Seoul in 1976, she is currently taking a master’s course in Visual Arts produc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at Chung-Ang University. Today’s Headline is her second work.

 

 

 

8. 거북이와 눈물 / Turtle and Tears

 

Taiwan ︳Drama ︳2011 ︳27 mins

︳Lang. Chinese ︳Sub. Korean, English

Sep, 21st (Fri), 16:30

 

키워드: 가정폭력, 언어폭력

Keywords: Domestic Violence, Verbal Abuse

 

샤오위의 아버지는 귀가를 하면 엄마를 '돼지'라 부르며 온갖 폭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상습적인 아버지의 폭행에 저항하지 않는 엄마는 그저 집안에 존재하지 않는 사물이나 마찬가지. 샤오위가 키우고 있는 거북이처럼, 그녀는 고통이 시작되면 모래 속에 숨는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다. 어느 날 거북이가 사라지고 아빠는 교통사고로 다리를 다치고 엄마는 결국 집을 나간다. 폭력으로 피폐해진 한 소녀의 삶을 완성도 있게 그려낸 작품. 특히 오브제로 사용된 거북이의 시점샷은 단순한 오브제의 기능을 넘어 주인공의 심리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수원)

 

When Xiaoyu's father returns home, he resorts to all sorts of violence, calling her mother a 'pig'. Her mother, who does not fight back her father's habitual violence, is like a lifeless object in the house. Her mother possesses a special talent in hiding when she starts to feel the pain like Xiaoyu's turtle which hides in the sand. One day, her turtle disappears, her father hurts his legs in a car accident and her mother finally leaves home. It is a work that thoroughly portrays a life which has been devastated by violence. Especially the shots taken from the perspective of a turtle, an objet d'art that does not function simply as an objet d'art, are effectively utilized in conveying the main character's mentality. (SHIN Suwon)

 

<감독> 초우 써웨이

대만 타이페이 출신으로 뉴욕대학교에서 영화과 석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 후, 이안 감독의 <쿵후 선생> (2009) 를 포함한 많은 작품제작에 참여했다. 영화 평론가, 강사, 각본가 그리고 독립영화 감독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2009년 단편 <묘자리 소동>은 로테르담국제영화제에 초청되었고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아시아 단편경선 메리케이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CHOU She-wei

Born in Taipei, Taiwan, Film/TV Chou She-wei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New York University and worked on several film productions, including Ang LEE’s Pushing Hand (1992) as assistant director. Her work With or Without You won the Mary Kay First Prize in IWFFIS of 2009.

 

 

 

9. 쿵푸 할머니 / Kung Fu Grandma

 

UK ︳Documentary ︳2012 ︳27 mins

︳Lang. Non-English ︳Sub. Korean, English

Sep, 20th (Thu) 14:00, 22nd (Sat) 14:00

 

키워드: 희망, 저항의 연대, 성폭력

Keywords: Hope, Rebellious Coalition, Sexual Violence

 

영화는 글로벌 미디어 안에서 익숙해진 재현 방식들로 아프리카의 빈민촌 풍경들과 인물들을 보여주는 것처럼 시작한다. 하지만 곧 원색의 도장 안에서 일군의 할머니들이 모여 왁자지껄 소리 내며 쿵푸를 연마하는 모습이 보여지면서 영화는 활기를 띠기 시작하고, 할머니들의 삶이 궁금해지기 시작한다. 곧 밝혀지는 할머니들의 무술 연마 이유는 충격적이지만, 영화는 감상주의나 저널리즘적인 소재주의에 빠지지 않는다. 다큐멘터리의 현실고발적 성격과 여성주의적 관점, 안정적인 연출력이 결합한 단편 다큐멘터리의 수작이다. (황미요조)

 

The film begins with the scenery of a poor African village and its people, which is shown through the familiar reproduction methods of global media. However, it promptly starts to gain vitality with the scene of a group of elderly woman noisily practicing their Kung Fu moves in a studio painted in primary color; and their lives become the subject of our curiosity. The shocking reason behind their Kung Fu practice is immediately revealed; but the film does not fall into sentimentalism or become a work that focuses only on issues like journalism. This is an outstanding piece of the short documentary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porting on reality, a feature of documentary, of feministic perspective, and of solid direction. (HWANG Miyojo)

 

<감독> 박정원

영국에서 다큐멘터리 연출 석사 학위를 받고 현재 런던에서 독립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석사 과정동안 제작한 작품으로는 영국의 채널 4에 쇼케이스된 자전적 다큐멘터리 ‘정원 밖에서’, 런던에 정착한 탈북자의 삶을 조망하는 ‘나는 강을 건넜다’ 그리고 케냐 슬럼의 할머니들을 담은 ‘쿵푸 할머니’가 있다.

졸업 작품 ‘쿵푸 할머니’는 원월드미디어 어워드와 캐서린 닉슨 어워드 수상으로 제작 지원을 받았다. 앞으로 우리가 알지 못했던 세계 그리고 그 안의 사람들을 발견하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자 한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PARK Jeong-one

PARK Jeong-one grew up in Seoul, South Korea, and studied documentary directing at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Her degree film projects include Out of Garden, a self-portrait documentary showcased for Channel 4, I Crossed the River and Kung Fu Grandma. She is currently working as 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maker based in London, UK.

 

 

 

10. 그들은 대화중 / Communique'

 

Korea ︳Drama ︳2011 ︳5 mins

︳Lang. Korean ︳Sub. English

Sep, 22nd (Sat), 14:00

 

키워드: 소통장애

Keyword: Breakdown in Communication

 

여자와 남자가 대화 중이다. 여자의 말은 들리되 들리지 않는다. 연인 간 말다툼과 소통의 힘겨움이라는 주제를 리버스 클로즈업 쇼트들과 아이디어만으로 완성해 낸 짧고 경쾌한 단편이다. (황미요조)

 

A woman and a man are talking to each other. The woman’s voice is heard but cannot be understood. It is a concise and cheerful short-film that expands on the theme of lover’s quarrel and communication troubles through reverse close-up shots and ideas. (HWANG Miyojo)

 

<감독> 이민아

 

성결대학교 연극영화학부 졸업 후, 2011년 <그들은 대화중> 으로 제5회 공주신상옥단편영화제 우수작품상과 여배우상, 제11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우수기획상과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LEE Min-ah

After Lee Min-모 studied Theater and Film at Sungkyul University, she filmed Communique’ in 2011 and this work won the Excellence Award and the Actress Award at Korea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and the Excellent Project Award and Participation Award at the 11th Korea Youth Film Festival.

 

 

 

11. 보스가 되고 싶다 / I Wanna Be Boss

 

Netherlands ︳Documentary  ︳2008 ︳58 mins

︳Lang. Chinese ︳Sub. Korean

Sep, 23rd (Sun), 16:30

 

키워드: 엘리트 교육

Keyword: Elitist Education

아침 7시부터 밤 10시까지 계속되는 일정. 명문대학 입학생을 많이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는 기숙제 사립 고등학교의 하루는 지독하기만 하다. 학생들은 새벽같이 일어나 떠지지도 않는 눈을 억지로 떠가며 산처럼 쌓여있는 책 더미 속에 머리를 들이민다. 어디선가 많이 본 풍경이다. 21세기 대한민국의 입시 환경과 다르지 않은 이 모습은 가깝고도 먼 나라 중국의 현재이다. 급격한 자본주의화 속에서 명문대 입학을 통한 계급 상승과 빛나는 미래를 꿈꾸는 학생들과 그 아이들의 부모, 그리고 이 아이들이 중국을 이끄는 날이 왔을 땐 경제적, 정치적으로 미국을 제치고 말겠다는 국가의 욕망이 만나 중국의 입시는 지금 불타고 있다. 이 작품은 중국 명문 사립학교에서 입시에 매달리고 있는‘중국에서 제일 똑똑한’다섯 명의 10대를 따라간다. 이런 입시문화가 생소한 네덜란드 감독의 차분한 거리두기가 오히려 이 지독한 현실을 더 통렬하게 느끼게 하며, 그런 분위기 속에서 날 때부터 지금까지 살아온 우리에게 우리 자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비춰볼 수 있는 거울이 되어준다. (손희정)

 

The tight time table runs from 7 a.m. to 10 p.m. For the students, the program at the boarding high school is excruciating. The school’s only goal is a high ratio of students admitted to top class universities. The students get up at dusk and while still half asleep start their day reading books that are stacked to the ceiling; a strange sight yet so familiar. High school life in 21st century China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 in Korea. Students and their parents’ dream about their bright future, made possible by capitalism, economic growth and upward mobility gained by graduating from top-tier universities. This is seconded by the nation’s desire to vertake the United States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when at last these students get their chance to lead the country. As a result of all this, getting into universities has become a burning issue in China. This film features 5 of the smartest students in China who attend a prestigious private school. The calmly detached way that the Dutch director-who is not very familiar with the entrance exam system-tells the story makes harsh reality more vividly felt. The film holds a mirror up to reflect our past, present, and future as we Koreans have similarly lived in such an environment. (Jay SOHN)

 

<감독> 마레이 메이르만

1967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출생. 암스테르담대학교에서 예술사를 공부했으며,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네덜란드 영화·TV아카데미에서 연출 및 촬영을 공부했다. 1995년 세이렌필름을 설립해 1999년까지 작품활동을 했으며, 네덜란드 VPRO텔레비전의 감독으로 시리즈물을 연출하기도 했다.

1995년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면서 세계화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끼친 영향을 작품에 담고 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Marije MEERMAN

Marije Meerman was born in 1967, Amsterdam, the Netherlands. She earned a Masters degree in Art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Amsterdam, studied directing & camera at the Dutch Film and Television Academy in Amsterdam. She has been a TV-series-director for VPRO Television Hilversum, the Netherlands, and a documentary director since 1995, while having special interest on globalization's impact to people's general life.

 

 

 

12. 토일렛 / Toilet

 

Japan, Canada ︳Drama ︳2010 ︳109 mins

︳Lang. English ︳Sub. Korean

Sep, 20th (Thu) 19:30, 21st (Fri) 11:00

 

키워드: 가족, 상처, 회복, 자신감, 회복, 차이

Keywords: Family, Hurting, Recovery,Confidence, Difference

 

까모메 식당으로 잘 알려진 오기가미 나오코의 영화. 따뜻한 감동에 코믹함까지 갖춘 영화로 이번 영화제에 개막작으로 소개된다.

엄마가 막 돌아가시자 공황장애로 외출을 못하는 형 모리의 상태는 더욱 심각해지고 그 때문에 늘 짜증나는 여동생 리사 사이에서 둘째인 레이는 하루하루를 지탱하기가 너무 힘들다. 엄마를 돌보기 위해 일본서 건너온 할머니와는 언어 소통이 안되며 엄마의 빈자리로 불안해진 남매들은 매일 좌충우돌의 연속이다. 엄마와의 추억이 담긴 만두와 재봉틀이 언어소통이 불가능한 할머니와의 연결 끈이 되면서 이들 남매는 서로에게 따뜻한 애정을 회복하며 서서히 안정을 찾아간다. (안혜경)

 

Maury the oldest child suffers even more severe panic disorders after the death of their mother. Lisa, the youngest irks Ray with her incessant demands. Between his older brother and younger sister, Ray does not have a day of peace. Ray who works in a lab has his own quirks of wearing the same style of clothes everyday and his only hobby is making and playing with Gundam robots. On top of all that, he is burdened with a grandmother from Japan who does not speak a word of English. Everything seems to be topsy turvy until Maury accidentally discovers an old sewing machine left behind by his mother. With the sewing machine and Japanese soul food as connectors, this seemingly dysfunctional family find warmth, understanding and solace in each other through their differences.

(Ahn Hyekyoung)

 

<감독> 오기가미 나오코

1972년 생. 치바대학 공업학부를 졸업 후, 94년에 미국의 남 캘리포니아 대학 대학원 영화학과로 유학을 떠났다. 오기가미 나오코 감독이 유학을 떠났던 90년대 미국은 선댄스 영화제를 중심으로 미국의 인디 영화가 붐을 일으켰던 시기이다. 개성적인 미국 인디 영화에서 많은 영감을 얻은 감독은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며 일본으로 귀국하여, 2001년 일본의 선댄스 영화제라고 할 수 있는 제23회 피아 필름페스티벌에서 중편영화 <별군, 꿈군>으로 음악상을 수상했다. 이 때 피아 필름페스티벌의 장학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영화가 감독의 첫 장편 데뷔작인 <요시노 이발관>이다. 이 작품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아동영화부문특별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고, 차기작 <카모메 식당>은 일반적인 마케팅 없이 입 소문 하나로 수많은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며 ‘슬로우 라이프 무비’라는 일본영화의 새로운 장르를 구축했다. 점차 국제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오기가미 나오코 감독의 세 번째 영화 <안경>은 해외 영화제에서 주목을 받으며 2008년 선댄스 영화제, 홍콩영화제, 샌프란시스코영화제에 진출하였다.

수입 조제/ 배급 조제

 

<Director> Naoko OGIGAMI

Naoko Ogigami was born in 1972. After finishing her engineering studies at Chiba University, she went on to study film in 1994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merica in the 1990's when Naoko Ogigami went to study was the time when there was a huge boom of indie movies centered around the Sundance Film Festival. Having been influenced greatly with this trend, she came back to Japan and won the best music award for her short film titled <Hoshino-kun, Yomeno-kun> at the 3rd PIA Film Festial in Japan. With the scholarship support from PIA Film Festival, she directed her first feature length film, the <Yoshino's Barber Shop>. With this film, she received a Special Mention at the Kinder Film Fest of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4. Her next film <Kamome Diner> became a commercial and critical success without much marketing just by word of mouth. She had created a whole new genre of 'slow life movie' in Japan. With ever growing fame internationally, <Megane> her 3rd feature length film garnered a lot of attention and went on to the 2008 Sundance Film Festival, Hong Ko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well as the San Francisco International Film Fest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