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영화제/제 13회 제주여성영화제

올해의 특별 섹션: 여성 예술

by JJWFF 2012. 8. 29.

올해의 특별 섹션: 여성 예술 

This Year's Special Section: Women's Art 

 

 

1. 왕자가 된 소녀들/ Girl Princes

 

Korea ︳Documentary ︳2011 ︳81 mins

︳Lang. Korean ︳Sub. English

Sep, 22nd (Sat), 16:30

 

키워드: 퀴어, 남장여자, 여성예술가

Keyword: Queer, Cross Dressing, Women Artists

 

1950년대 한국전쟁 직후 폐허가 된 나라를 누비고 다니며 무대를 호령했던 남장여자들이 있었다. 무대 위에서 공주는 물론 왕자와 장수, 사또와 도령까지 모든 역할들을 여성들이 맡아 연기했던 여성국극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국악과 문화계 전반의 중심이 되었다. 무대 위에서 여성들과 사랑을 나눴던 이 남장 여배우들에게 엄청난 소녀 팬덤이 형성되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다.

다큐멘터리 <왕자가 된 소녀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져간 여성국극과 무대 위 남장 여배우들을 카메라 앞으로 소환해온다. 이 작품은 여성들만의 독특한 문화 공동체가 가진 해방적 에너지를 재조명하고, 남성 중심적 국악계의 배제 속에서 여성들의 문화실천이 어떻게 지워져 갔는지를 추적하는 여성들의 문화사 기술을 시도한다. 아울러 '왕자가 된 소녀들'이라는 제목이 가리키고 있듯이, 여성국극 속 남장 여성들의 존재는 여성으로서의 자기 인식과 무대 위 퍼포먼스로서의 남장, 그리고 캐릭터로서의 남성성 사이에서 묘한 긴장을 발생시키며 여성의 남성성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현시한다. 여성 스타를 둘러싼 여성 팬덤의 형성과 관계 맺기를 들여다보는 것 역시 흥미로운 지점이다. (홍소인)

 

Right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0s, there were women disguised as men who ruled the stage traveling all over the country. Korean traditional women's musical - where women played all roles, from those of a prince and merchants, to a magistrate and a young man - gained tremendous popularity and became the center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culture. It probably was an obvious result that a huge fandom of girls was formed around these women dressed as men and falling in love with women on stage.

The documentary Girl Princes brings out Korean traditional women's musical and actresses dressed as men, which have disappeared into history, in front of the camera. This film refocuses on the energy of liberation unique to women’s cultural community. Through the cultural history approach, it attempts to trace how women’s cultural participation was erased, excluded by the male-centered Korean classical music world. As the title “Girl Princes” suggests, the presence of women disguised as men in Korean traditional women's musical creates tension among their awareness as women, their disguise as men on staged performances, and the masculinity of their characters, and also reveals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masculinity of women. Looking into the formation of female fandom around actresses and their relationship is another interesting point of this film. (HONG So-in)

 

<감독> 김혜정

 

 

 

1976년 출생. 2007년 미디액트 초보비디오프로젝트와 독립극영화제작 과정을 수료하면서 영상 작업을 시작했다. 대학 때부터 여성주의 문화를 함께 고민하던 이들과 ‘문화기획집단 영희야 놀자'를 만들었고, <왕자가 된 소녀들>이 첫 장편 연출 작이다.

 

<Director> KIM Hye-jung

Born in 1976. She began video works, after completing the Independent Film Making course at MEDIACT (Media Culture Center in Seoul) in 2007. The documentary film, Girl Princes (2011) is her first feature length documentary.

 

 

 

 

2. !여성 예술 혁명: 감춰진 역사

   !Women Art Revolution: A Secret History

 

USA ︳Documentary ︳2010 ︳83 mins

︳Lang. English ︳Sub. Korean

Sep, 20th (Thu) 16:30, 23rd (Sun) 21:10

 

키워드: 페미니스트 여성 예술 혁명

Keywords: Feminist Revolutionary Art History

 

이 작품은 미국의 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배제되거나 침묵되었던 페미니즘 아티스트들의 활동과 작품들을 가시화하며 공인되어온 기존의 역사서술에 의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 물음 속에는 주로 남성 아티스트들과 이론가 및 큐레이터 등을 통해 (재)생산된 예술적 권위와 주변화 되었던 여성 아티스트들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포함한다. 하지만 영화는 단순한 비판에 머무르지 않는다. 영화는 보다 적극적으로 ‘숨겨진 역사’를 재발굴 하고 재담론화 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현재와 과거가 역동적으로 대화하는, 말하자면 살아 움직이는 역사영화를 구성해가고자 한다. 따라서 이 작품 속에는 짐짓 점잖은 체 하는 객관적 내레이션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티스트로서 활동해 온 감독 자신의 목소리가 영화 전반에 흐르면서 수많은 여성 아티스트들과의 대화들을 엮어낸다. 이 대화들 속에서 그녀들이 개입하고 창조해왔던 새로운 예술에 대한고집과 저항의 퍼포먼스들이 펼쳐진다. 이와 같은 작품의 태도는 페미니즘적 역사서술의 영화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시도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영화는 보다 실천적으로 과거 여성 아티스트들의 삶과 작품을 현재적으로 소생시키며 젊은 여성주의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역사적 원천과 에너지가 되고자 한다. (김유성)

 

This film shows the works and the activities of feminist artists, who were excluded or silenced from U.S.’s modern art history; and questions the officially recognized historical representation. This question includes the issue in identification of female artists who were marginalized from artistic prestige which was (re)created mainly through male artists, theoreticians, and curators. However, the film does not simply end with criticisms. The film eagerly uncovers the ‘hidden history’ and takes it back for reconsideration. The director aims to produce a film in which the present and the past dynamically converse with each other, or in other words, a living, breathing historical film. Therefore, there is no place for the high and mighty sounding objective narration in this film. The voice of the director, who was an artist, flows in the first half of the film and converses with numerous female artists. Through these conversations, the story of resistance and inflexibility in regards to the new art that they had become involved in and that they had created unfolds. In a way, this kind of approach appears to be an attempt to suggest a cinematic methodology of feministic representation of history. However, the film practically modernizes the works and the lives of past female artists, and aims to provide a new historical source and energy for young feminist artists. (KIM Yusung)

 

 

 

<감독> 린 허쉬만

 

테크놀로지 선구자이자 뉴미디어 작업에 있어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감독이자 예술가. 대표적인 영화 연출작으로 <컨시빙 에이더>(1998), <테크놀러스트>(2002), <스트레인지 컬처>(2007)가 있으며 이 영화들은 선댄스영화제, 토론토영화제, 베를린영화제 등 유수의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그녀의 뉴미디어 설치 작품들은 뉴욕현대미술관, 독일 ZKM 미술관 등 많은 갤러리에서 전시되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예술대학의 영화학과 교수이며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스 캠퍼스의 명예교수직을 겸임하고 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Lynn HERSHMAN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rtist and filmmaker Lynn Hershman has been internationally acclaimed for her pioneering use of new technologies and her investigations of issues. Her three feature films, 'Strange Culture' (2007), 'Teknolust' (2002) and 'Conceiving Ada' (1998) screened at the Sundance Film Festival,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mong others, and have won numerous awards. She is the Chair of the Film Department at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3. 나는 접시 / Flying Plate

 

Korea ︳Digital Art ︳2011 ︳3 mins 50 secs

︳Lang. Korean ︳Sub. English

Sep, 20th (Thu) 16:30, 23rd (Sun) 21:10

 

키워드: 스트레스 해소, 수다

Keywords: Stress Release through Destruction

 

유일한 남성 감독(임흥순)의 영화! 예술가로서 미디어 아트 작품을 많이 발표한 감독은 여성들을 예술창작의 주체자로 참여시키는 예술 소통 프로젝트를 오래 진행해왔다. ‘나는 접시다’도 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아줌마들이 접시를 깨면서 쌓인 스트레스틑 풀어내면서 동시에 예술퍼포먼스를 겸하는 재미있는 영상작품. 수다와 벽에 부딪혀 깨지는 접시의 소리와 아줌마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여러 가지 상황과 상상들이 이 짧은 영상에 재미있게 담긴다. 예술적 표현과 해방감을 동시에 느끼고 싶은 여성분들에게 아주 놀라운 재미를 선사한다. (안혜경)

 

The one and only film entry that was directed by a man. This is a short digital artsy film that tries to portray the feelings of the 'ajummas' (housewives) by creating cacophonic sounds of the plates breaking away which symbolizes their stress release. It offers a cathartic release for the viewers. (J. HAHN)

 

<감독> 임흥순

사소하고 버려진 개인사를 공적인 영역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영상, 설치, 사진 등으로 풀어왔다.

성남프로젝트(1998-1999), 현저동프로젝트(1999), 믹스라이스(2002-2005), 보통미술잇다(2007-2011) 팀 활동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며 공공예술 프로젝트 진행했다.

최근에는 제주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비념>이(기획/제작 김민경, 임흥순, 연출 임흥순) 전주국제영화제 국내장편경쟁에 초청되었다.

 

<Director> IM Heung Soon

 

My art practice has focused on the issues around socially marginalized populations found in the accounts of individual and communal history. Works such as 'Seongnam Project', 'Dapsimni project' and 'Mixrice' explore the sociopolitical geography in the realities of urban development and class structure in Seoul. I have formed and participated in many collectives such as Mixrice and Public Art, ITDA, and organized workshops and performances for the marginalized communities. I have also closely worked with activists and human rights organizations on researching for issues involving immigrant workers, Vietnam War veterans in Korea. Currently, I am working on a new project that examines the April 3rd Massacre of Jeju Island, which wiped out thousands of lives on the island and surfaced South Korea’s complex and fraught relationship to the past. (IM Heu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