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영화제/제 13회 제주여성영화제

섹션 3: 소수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

by JJWFF 2012. 8. 29.

섹션 3: 소수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 

Section 3: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Minority

 

 

 

 

1. 달빛 아래에서 - 야간고등학교의 기억 

   A School that was Learning in the Moonlight

 

Japan ︳Documentary ︳2010 ︳115 mins

︳Lang. Japanese ︳Sub. Korean, English

Sep, 23rd (Sun), 19:00

 

키워드: 교육, 희망, 청소년

Keywords: Education, Hope, Youth

 

2002년, 사이타마의 우라와 상업고등학교의 야간 교실에 왕따, 범죄, 가난, 가족해체 등 다양한 이유로 일반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학생들 40명이 입학한다. 오타 나오코 감독은 이 학생들과 담당교사 히라노 선생님의 교실을 입학에서 졸업까지 4년간 담아냈다. 사회 비주류 학생들이 다시 주류 교육제도에 편입되거나 입시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화제가 되거나 하는 것을 목표 삼지 않고, 그저 아이들이 갈 곳이 필요할 때 언제나 편하게 올 수 있는 곳이기를 원하는 우라와 고등학교의 야간교실은 복지에서 조차 투자 대비 효용성을 따지는 시대에 결국 폐지위기에 놓인다. (2008년 폐교) 문제아 학생들이 모인 야간학교, 열혈 선생님, 폐교위기와 감동의 졸업식. 학원물 만화나 TV 드라마에서 환영 받을 만한 드라마틱한 소재이지만 <달빛 아래에서 - 야간고등학교의 기억>은 차분하고 담담하게 아이들과 선생님을 관찰한다. 아이들은 종종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화를 터트리거나 자해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그 순간에도 영화는 그 장면을 극적으로 연출하지 않으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과 선생님과의 관계와 학생들의 변화는 묵직한 감동을 준다. (황미요조)

 

In 2002, forty students who hadn’t entered high school due to being bullied, crime, poverty, and family disorganization, entered Urawa Commercial High School’s evening class. The director OTA Naoko had filmed these students and the teacher Hirano for four years until they graduated. The film shows the school which doesn’t aim at socially minor students’ re-entering major educational system or discovering some students’ outstanding performance in entrance examination, but the school’s hope is to be a place for students to come whenever they need a place to go. However, in the era of investment effectiveness, where welfare the system is no exception, the Urawa Commercial High School’s evening class is in a crisis of closing down. (Closed in 2008) The materials like outcasts’ evening class, a passionate teacher, crisis of closing and touching graduation are all dramatic elements which might be welcomed to a school life manga or TV shows, but the film A School that Was Learning in the Moonlight calmly and plainly observe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Sometimes, kids can’t control their anger and lose their temper and even try to harm themselves but the film never shows it in a dramatic way.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ds and the teacher and the changes that occur among the students move us deeply. (HWANG Miyojo)

 

<감독> 오타 나오코

1964년 도쿄 출생. 1987년 도쿄도립대학을 졸업하고, 졸업 후 2년간 고등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를 했다. 이 후 프리랜서 작가와 편집자로 일하면서 영상 제작을 시작하였다. 본격적으로 영화 제작에 뛰어들어 2010년 첫 영화 <달빛 아래에서 - 야간고등학교의 기억>를 완성하였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OTA Naoko

Born in 1964 in Tokyo, Ota Naoko graduated from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in 1987. After the graduation, she taught at a private high school as a part-time teacher for two years. Then, she started editing and writing for books and magazines as a freelancer. During that period, she started working at media productions. 'A School that Was Learning in the Moonlight' is her first film.

 

 

 

 

2. 랜드 레이디 / The Landlady

 

Mexico ︳Documentary ︳2009 ︳5 mins

︳Lang. Spanish ︳Sub. Korean, English

Sep, 21st (Fri) 16:30, 22nd(Sat) 21:10

 

키워드: 이주여성, 나눔

Keyword: Immigrant Women, Human Quality by Sharing

 

2011년 칸국제영화제 단편영화 부문 초청작인 <랜드 레이디>는 멕시코 베라크루스 주의 작은 여성 커뮤니티에 주목한다. 수천 명의 중남미 이민자들이 매일 멕시코를 거쳐 북미로 불법 이주를 시도한다. 이 이민자들에게 희망의 이름이 된 ‘라 페트로나’, 이 여성 커뮤니티는 그 길을 지나는 이민자들에게 생명을 나누어 준다. 이 작품은 5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배제의 현실 속에서 나눔의 실천을 통해 삶을 바꿔내는 강인한 여성들을 시각화한다. 이 강렬한 영상은 이후 다른 감독들에 의해 중편, 장편 다큐멘터리로 다시 제작되었다. (홍소인)

 

The Landlady was invited by Cannes Film Festival in 2011. The film focuses on a small women’s community in the state of Veracruz, Mexico. Thousands of Latin Americans attempt to migrate to North America by crossing through Mexico. To those migrants, “La Patrona” becomes a milestone of hope, and the women of this community give life to the migrants. In 5 short minutes, this film visualizes strong women who change lives through sharing in the reality full of negligence. This intense short film has been reproduced by other directors into mid and feature-length documentaries. (HONG So-in)

 

<감독> 리세테 아르게요

1980년 멕시코시티 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첫 다큐멘터리 영화 <나디에>(2006)는 선댄스영화제 관객상을 비롯해 16개가 넘는 다수의 국제영화제에 초청되어 많은 상을 수상했다.

프랑스 툴루즈 정치 대학에서 국제학을 전공하고,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국립 멕시코 시티 예술 센터에서 수학하고 있으며, 다큐멘터리감독, 연구원, 작가로 활동 중이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Lizzette ARGŰELLO

Born in 1980 in Mexico City, Lissette Arguell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production of her first documentary named De Nadie (2005) which was

invited to more than 16 international films festivals, including the Public Sundance Award in 2006. She works as a researcher, writer and documentary director.

 

 

 

 

 

3. 가족에게 커밍아웃하는 다양한 방법 

    Family Reunion

 

Iceland ︳Drama ︳2006 ︳21 mins

︳Lang. Non-English ︳Sub. Korean, English

Sep, 21st (Fri), 14:00

 

키워드: 퀴어, 커밍아웃

Keyword: Queer, Coming out of the Closet

 

뉴욕에서 여자 친구와 함께 살고 있는 카타는 외할아버지의 칠순을 맞이해 고향 아이슬란드로 돌아간다. 이전 남자 친구가 그녀에게 여전히 미련을 못 버리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카타는 그에게 커밍아웃한다. 그러나 곧 고향에서 아웃팅을 당하게 될까봐 두려움에 빠지는 카타. 하지만 카타의 인생은 새로운 소식을 준비하고 그녀를 기다리고 있다. 가까운 사람들에게 커밍아웃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그런 용기 있는 행동의 의미를 그리고 있는 작품. (손희정)

 

Kata, who lives with her girlfriend in New York, comes back to her hometown in Iceland to celebrate her grandfather’s 70th birthday. When she discovers that her ex-boyfriend still has a lingering attachment to her, she comes out to him. While she is afraid of outing herself in her hometown, fresh news is waiting for her. Family Reunion describes a fear for coming out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courageous behavior (Jay SOHN)

 

<감독> 이졸드 우가도티르

아이슬랜드의 레이캬비크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2001년 뉴욕대학교 티쉬예술대학의 인터랙티브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과정에 들어갔다.

뉴욕대학교에서 그녀는 시각 매체에 대한 매혹에 이끌려 에미상을 수상한 파르티잔 픽처스에서 몇 년 간 다큐멘터리 영화를 편집하는 일을 했다.

 <가족에게 커밍아웃하는 다양한 방법>은 연출 데뷔작이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Isold UGGADOTTIR

Born and raised in Reykjavik, Iceland, Isold Uggadottir came to New York City in 2001 to pursue a master’s in Interactive Telecommunications at NYU’s Tisch School of the Arts. From NYU her fascination with visual mediums lead her to the Emmy Award winning Partisan Pictures where she has been editing documentary films for the past few years. 'Family Reunion' is her directorial debut.

 

 

 

 

 

 

4. 베이비 포뮬라 / The Baby Formula

 

Canada ︳Fake Documentary, Comedy ︳2008 ︳81 mins

︳Lang. English ︳Sub. Korean

Sep, 21st (Fri), 14:00

 

키워드: 퀴어, 레즈비언 임신

Keyword: Queer, Lesbian Pregnancy

 

작년‘퀴어 레인보우’에서 소개했던 단편 <서큐버스>로부터 시작된 페이크 다큐멘터리. <서큐버스>에서 줄기세포 연구가 성공할 때까지 기다릴지 아니면 다른 남자의 정자를 빌려 아이를 낳을지로 갈등을 겪었던 아테네와 릴리스 커플이 드디어 줄기세포 연구에 성공해서 자기들만의 난자로 임신을 하게 된다. 이 사실을 가족들에게 알리기 위해 두 사람은 파티를 계획하고, 서로 너무 다른 삶을 살고 있는 가족들이 모이면서 사건이 터지기 시작한다. 동성 커플이 아이를 키우게 된다는 것은 곧 두 사람 사이에 그것이 개인이든 기관이든 제 삼자가 개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때로는 고통스러운 일이고 또 때로는 슬픈 일이기도 하다. 영화는 페이크 다큐의 형식을 통해 이런 레즈비언 커플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문제를 따뜻하고 유쾌하게 따라가는데, 실제로 임신을 한 배우들 덕분에 리얼한 감정이 그대로 살아있는 놀라운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손희정)

 

This is a fake documentary that originates from Succubus, a short film introduced in the Queer Rainbow last year. In Succubus, Athene and Lilith disagree on whether they should wait until stem cell research succeeds, or they should opt for sperm donation in order to have a baby. In The Baby Formula stem cell research finally succeeds and they get pregnant with their own eggs. To inform this news they plan a family party, but things start to get complicated as family members from all different walks of life mingle with each other. For a lesbian or gay couple, to have a baby means they have to confront social interventions by third parties. Sometimes it brings pain, and sometime it brings sadness. In the form of fake documentary, this film follows the issues of childbirth of lesbian couples with humors and warm heart. Thanks to the actors who are actually pregnant in real life, it is completed as an amazing work showing real emotions. (Jay SOHN)

 

<감독> 앨리슨 레이드

< Keeping Track >(1985), <폴리스 아카데미3>(1986), <쏘우> 시리즈, <엑스맨: 최후의 전쟁>(2006) 등의 스턴트 및 스턴트 코디네이터로 활약했다.

2001년 반프예술센터에서 개최한 ‘여성감독 워크숍’, 캐나다 필름센터의 ‘제작자 워크숍’ 등에 참여하여 영화제작에 관한 전문적인 기술을 배웠다. 단편영화 <서큐버스>(2006)로 감독 데뷔하였으며, <베이비 포뮬라>는 이를 발전시켜 만든 그녀의 첫 장편영화이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Alison REID

Alison Reid has an unusual beginning in the film industry by first working as a stuntwoman in movies like <Keeping Track> (1985), <Police Academy 3>, the <Saw series> and <X-Men, the Last Stand> (2006). She learned her professional skills at the Banff Center for the Arts in 2001. Her short film <Succubus> (2006) was her directorial debut and Baby Formula is her first feature length film.

 

 

 

 

 

5. 이주 여성의 체류 이야기 

    The Story of Our Sojourn Safety=Stability

 

Korea ︳Documentary ︳2011 ︳11 mins

︳Lang. Korean ︳Sub. English

Sep, 23rd (Sun) 14:00

 

키워드: 볼모여권

Keyword: Guarantor Passport

 

결혼을 통해 한국에 들어오는 이주여성들이 남편과 산지 2년이 지나야 국적, 영주권을 신청 가능하다. 그러나 남편의 신원보증 없이는 외국인등록증 연장조차 할 수 없었다. 낯선 한국 생활에 남편의 도움이 많이 필요한데 좋은 남편을 만나도 사이가 나쁠 때 걱정할 수밖에 없다. 체류 연장기간이 다가올 때 더욱더 불안하다. 아이가 없으면 국적심사가 달라져 26개월~30개월이 걸린다. 한국에서 입국한 날로부터 남편이 협조를 해줘도 적어도 3년~4년이 지나야 한국국적을 받을 수 있다. 이주여성으로서 체류문제로 인해 꺾게 된 문제들을 이야기 안 할 수 없다. 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살아가면서 체류 문제로 인해 어떤 어려움과 차별을 꺾게 되는지.... 한국에 온지 일주일이 된 어느 날, 남편은 나를 데리고 낯선 곳으로 갔다. 그리고 여권을 보여 달라고 하는데.... (레티 마이투 )

 

The immigrant women who marry Korean men have to wait at least 2 years before they can apply for a resident card. However, they can't even extend their alien registration card without the guarantee of their husbands. A lot rides on the status of their relationship and if there are no children, the immigration procedure takes at leat 26 to 30 months. In short, it takes 3 to 4 years even with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husband to get a Korean Citizenship. This is the story of a woman whose husband takes her to a strange place just after one week of arrival and asks her to give him her passport. (Le Thi Mai Thu)

 

<감독> 레티 마이투

1986년 베트남 하이퐁시 출생.

2005년에 결혼하여 한국으로 이주했다.

2007년 8월부터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에서 근무했다.

 2008년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에서 영상교육을 참여해 <나는 투>를 연출했고 이를 통해 영상적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영상을 통해 이주여성들도 자신의 생각과 불편함을 토로할 수 있어서 2011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다문화영상아카데미 교육을 참여하게 되었다.

배급 서울국제여성영화제

 

<Director> LE THI Mai Thu

Le Thi Mai Thu was born in Hai Phong, Vietnam in 1986. She moved to Korea in 2005 through marriage. From August of 2007, she started working at the Korean Immigrant Women Human Rights Center. In 2008, she participated in the visual film training workshop and directed <I am Thu> and through this work, she began to take interest in the visual arts industry. Through film work, she was able to find an outlet where immigrant women can find voice to their discomfort. She consequently participated in the 2011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workshop and while counseling with the immigrant women, she realized that it was essential to try to resolve the immigrant women's issues within the Korean society for them to continue living here.

 

 

 

 

 

 

6. 그녀가 떠날 때 / When We Leave

 

Germany ︳Drama ︳2012 ︳119 mins

︳Lang. Non-English ︳Sub. Korean, English

Sep, 22nd(Sat) 11:00

 

키워드: 관습, 가족, 희생, 극복

Keywords: Customs, Family, Sacrifice, Overcoming

Difficulties

 

터어키계 독일여성으로 자라난 ‘우마이’는 이스탄불에서의 불행한 결혼생활을 포기하고 아들 ‘챔’을 데리고 독일의 가족 곁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여성에 대한 이슬람문화의 오랜 관습은 아픈 마음을 가지고 돌아온 ‘우마이’의 마음을 사정없이 할퀸다.

민족, 종교, 국가를 둘러싼 문화적 편견이 옭아매는 사회적 속박과 거기서 비롯된 갈등은 가족들 간의 애정마저도 잔인하게 파괴한다. 그 속박을 여성이 견뎌내어야 가족 모두의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고 관객조차도 어느 순간 믿게 만드는 상황은 그 환경에 처한 여성들의 끔찍함을 더더욱 실감나게 만든다.(안혜경)

 

Umay is a Turkish German woman who decide to give up her unhappy marriage in Istanbul and bring her son Cem back to her family in Germany. However, the long standing Islamic tradition lash out mercilessly at Umay who has been hurt by such practices. The cultural prejudices and social conventions that surround ethnicity, religion and nation lead to severe conflicts which ultimately destroys whatever emotions which might have remained within the family. The reality where the audience is led to believe that peace can only be obtained by the women enduring all these restraints makes the situation all the more horrifying.(AHN Hyekyoung)

 

<감독> 페오 알라다그

1990년대 초반에는 오스트리아 일간지의 편집자로 일했고, 2000년까지 수많은 광고와 영상제작에 참여했다.

1998년부터는 <Mutterliebe>(2003)와〈Erfroren>(2005) 등의 TV 시나리오 작업을 했다. 2004년 독일 영화&TV 아카데미에서 연출공부를 시작했고, 2005년에는 쥘리 알라닥과 함께 독립예술가영화제작사를 설립했다. <우리가 떠날 때>는 독립예술가영화제작사의 첫 장편영화이자 감독 데뷔작이기도 하다.

베를린 국제영화제 최우수유럽영화상, 저먼필름어워즈, 프랑스 LUX PRIZE의 최우수유럽영화상, 크레테유 국제여성영화제 최우수관객상, 미국의 포트 로더데일 국제영화제 심사위원상, 독일비평가협회상에서 최우수신인감독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작품상, 여우주연상, 촬영상

수입: ㈜스마일이엔티 / 배급: ㈜스크린와이즈

 

<Director> Feo Aladag

Feo Aladag was born in Vienna, Austria in 1972 and worked as an editor for an Austrian daily newspaper in the beginning of the 1990's. She worked in various ads and visual projects up till the yea 2000. From 1998, she worked on TV scenarios such as for <Mutterliebe>(2003) and〈Erfroren>(2005). In 2004, she studied directing at the German Film and Television Academy and in 2005, she founded the Independent Artists Filmproduktion with fellow director Zuli Aladag. <When We Leave> is her first directorial feature film of the Independent Artists Filmproduktion.

Received the Best European Film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erman Film Awards, the Best European Film at the French LUX Prize, the Best Audience Award at the Festival International de Fims deCreteil, the judge's choice movie at America's Fort Lauderdal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best New Director at the German Critics Association, the best script, the best picture, the best actress and cinematography.